Search
🙆🏻‍♂️

In ROKAF

군대에서 할 것들
cp-kaist Application
KAIST 전산학부/전기및전자공학부 학사과정
20180480 이우진
1.
The most interesting experience on computing
“가장 흥미로웠던”이라고 하면 꼽기 힘들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2가지 활동”이라고 한다면 1) KC-ML2(https://www.kc-ml2.com/) 에서 수행한 인턴십 활동, 2) 운영체제(CS330) 과목 수강입니다.
2020년 9월~2021년 2월까지 진행한 KC-ML2에서의 인턴십은  “Exploring ML HW accelerators using TVM and Xilinx PYNQ board”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TVM 컴파일러에 대해 처음 접한 기회였는데, 당시에는 PL이나 컴파일러 등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이해할 수 있는 깊이에 한계를 느껴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논문을 읽고, 관련 세미나 영상도 보고, 커뮤니티에 이것저것 질문도 하면서 SW-HW co-design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학기에 컴파일러 과목을 수강하고,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며 가능하다면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당시에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blog.kc-ml2.com/tvm/
2021년 가을학기에 수강한 운영체제 과목의 pintos-kaist 프로젝트는 대규모의 코드를 직접 작성한 첫 프로젝트였기에 기억에 남습니다. 수업에서 abstraction에 관련된 역사들을 짚어가는 것 또한 재미있었습니다. A0의 성적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1.
What you want to do in the lab
cp lab 홈페이지에 나온 프로젝트 중 AI serving system이 가장 흥미로워 보입니다. efficiency를 위해 abstraction layer를 분해하면서도, programmability를 제공해야 한다는 모순적인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알아보고 싶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강화학습을 공부하여 스케줄러 등에 접목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싶습니다. 최근 EDA 툴에서 RL을 이용하는 부분이나, 메모리/OS의 스케줄러에서 RL을 접목하는 부분이 흥미로워 보였습니다. TVM 컴파일러를 공부할 때, ML(XGBoost)를 이용해서 최적화를 수행한다는 것을 보았는데, 비슷하게 컴파일러에서도 RL을 통한 최적화 등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The time you’re available for an online meeting for 30 minutes
2/15(화) 이후로는 모든 시간대 전부 가능합니다.
1.
Extra comments
KC-ML2에서 인턴십을 시작으로 작년 운영체제, 프로그래밍언어, 프로그래밍의 이해 과목 등을 수강하며 동시성/병렬성에 관련한 교수님 연구분야에 흥미가 생겼고, 대학원 진학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2023년 2월 가을학기 내지는 2023년 8월 졸업 예정인데, 면담할 때 TO 문제에 대해서도 상담하고 싶습니다.
CV와 성적표 첨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