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포인트모바일 분석

Search
재무건정성
항목
2017
2018
2019
2020
36.37
426
513
621
37
59.2
90.3
8.73
11.54
14.52
10
14.42
26.62
COUNT9

재무 건정성

BPR이 8.42 → 다소 위험
부채 비율 → 2019 기준 50%, 지속적 감소
유동부채 비율 → 17%, 지속적 감소
지극히 낮다 → 안정적, but 과연 많은 자본을 다시 재투자 하느냐?

성장성

매출, 영업 이익의 꾸준한 증가
OPM 및 ROE의 꾸준한 증가
다만 올해 재고자산이 크게 늘어난 점은 Risk (49.3 → 122.4 → 172 / 17, 18, 19)
다만, 17→18의 경우 원재료의 증가, 18→19의 경우 제품의 증가, 즉 2년에 걸쳐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제품을 생산완료까지 시켰다.
→ 과연 팔릴 것이냐?, 어떤 제품을 위한 개발이었나? , 그 제품은 계약을 맺은 것인가
매출채권의 증가(100→180억) → 20년 매출로서 잡힐 것
→ 계약성 판매, 매출 채권은 꾸준히 증가할 것, 또한 매출 채권에 대한 영향력도 클 것
→ 고객 customizing 사업 특성상, 재고 자산이 많이 남을 수 있다.
한 해에 몇 개 정도의 계약과 수주를 따내느냐
계약 업체 수 및 종류, 수익의 종류

활동성

자기 자본 회전율은 약 2정도, 본인의 자본을 활용해 매출을 2배 정도 생성
지속적인 하락세가 Risk지만 눈에 띄는 정도는 아님.
→ 이를 통해 20년 매출액은 (370+20년 영업이익 (80억))*2 = 1000억원 정도 예상

PER: 36.67 / PBR : 8.42 회사가 얼마나 성장가능하냐?

현재가인 63200원이 적절한가, 시총 3896억원이 적절한가

<2020년 예상 수익>

아마존 계약: 8년간 2억 불, 매년 → 300억 정도 규모, 20년도 100억 즈음
→ 자기 자본 회전율을 통해 봤을 때, 매출액은 800 + 아마존 계약건 → 1000억을 상회
→ 영업이익: OPM 14% 정도를 바라봤을 때, 140억 정도

<상대적 비교>

시장 규모
한해 시장 규모 - 4조 3천억
리테일 마켓, 공장, 자동차 등등
운송회사 등 , DHL, UPS, FedEX
엔터 → 티켓마스터, 입장료 스캔 등
공공서비스, 경찰, 교통통제관리 등
Market Share
매출의 비중으로 봤을 땐, 현재 세계 Top 5안에도 못들어가는 수준
World Players
Datalogic → 매출 8000억, 영업이익 800억, 자산 총계 9000억 , 시총 1조 정도 OPM: 10% , PER: 53.45 , ROE: 3.74
Symbol Technologies (Zebra) → 영업이익: 5000억 , 매출: 4조, 시총 20조, OPM: 14% , PER: 43 ROE: 26%
Honeywell → retail 파트가 매출이 2조...
Denso Wave
Newland → 중국기업, 매출: 1조, , 영업이익: 1000억
Seuic
제브라와 비교 → 영업이익 대비 시총이 작은 편
datalogic과 비교 → 영업이익 대비 시총이 큰 편

투자포인트

아마존과의 신규 계약을 통해 신용을 높였다.
이대로만 성장해준다면 한해 10%씩 성장 가능
20년 수익: 1000억 매출 , 140억 영업이익, 640만 주(신주포함)→ EPS: 2187.5, 적정PER: 30, 예상주가 = 65,000~76,000
21년 수익: 600*2 = 1200억 매출 매출, 168억 영업이익 → EPS: 2625 , 적정 PER: 30~35 , 예상주가 = 78,750~91,000원
아마존 외 신규계약 확보 및 성장 가능성이 다분
제브라 및 Datalogic과 같은 해외 player들과 지표 비교해볼 때, per의 경우, 경기 민감주임을 고려하면 경기가 좋을 때는 30 , 보통은 25, 안 좋으면 20
21년은 코로나 19에 대한 경기부양책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는 시기, 현재 인플레이션 작용으로 per급격히 상승 안 좋아진다면 per 25에서 적당히 안 좋아질 경우 per 30 선 유지할 것으로 예상
아마존이 신주인수권을 계속해서 행사한다면, EPS 가 희석될 것
아마존이 과연 물량을 팔지 안 팔지가 최대 관건 → 내일 확인해보자.
현 가격은 20년 실적이 1000억을 넘길 경우를 이미 반영하고 있다.

20년 실적이 매출 1000억을 넘기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버블이 터지지 않을 경우, 주가는 추가 상승 여럭이 있다.

→ 20년 매출이 공개되는 시점은 3월 공매도가 시작되는 시점일 것
→ 20년 매출이 공개된 직후, 매수하도록 하자